이 웹사이트는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웹사이트 입니다

검색

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다문화지표 개발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다문화지표 개발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류정아
단체저자명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발행사항한국: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형태사항175+ 02
총서사항기본연구;L.09-04
ISBN9788960351646
분류기호306.09519
언어한국어

소장정보

  • 인쇄인쇄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B71186 306.09519 한16ㄷ L.09-04 c.1 통계도서관/도서관/ 대출가능
인쇄 이미지

목차

목차 일부

제1장 서론(001)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003)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003)
2. 연구의 목적(003)
제2절 연구 방법 및 기대효과(004)
1. 연구 수행절차 및 방법(004)
2. 연구 기대효과(007)
제2장 다문화의 정의와 해외 다문화정책 사례(009)
제1절 다문화 관련 기존 연구 분석(011)
1. 문화다양성과 다문화현상에 ...

목차 전체

제1장 서론(001)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003)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003)
2. 연구의 목적(003)
제2절 연구 방법 및 기대효과(004)
1. 연구 수행절차 및 방법(004)
2. 연구 기대효과(007)
제2장 다문화의 정의와 해외 다문화정책 사례(009)
제1절 다문화 관련 기존 연구 분석(011)
1. 문화다양성과 다문화현상에 대한 연구(011)
2. 외국인과 이주자에 대한 내국인의 태도 연구(011)
3.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 및 차별적 태도 연구(012)
4. 국민정체성·시티즌십(citizenship)에 관한 연구(013)
제2절 문화다양성과 다문화의 정의(013)
1. 문화다양성의 개념과 정의(014)
2. 다문화주의의 개념과 정의(015)
3. 다문화사회의 개념과 정의(016)
제3절 해외 다문화정책 사례(017)
1. 독일 : "동화 정책"(017)
2. 일본 : "다문화공생 정책"(019)
3. 미국 : "문화다원주의 정책"(020)
4. 프랑스 : "광화적 동화주의 정책"(021)
5. 대만 : "사회통합 정책"(022)
6. 호주 : "다문화조화 정책"(023)
제3장 한국의 다문화 현황과 다문화정책 방향 설정(025)
제1절 한국사회의 다문화화 과정과 전망(027)
1. 다문화사회의 유형과 한국사회의 특수성(027)
2. 외국인 이주 3단계(027)
3. 이주민의 구성과 다문화 사회의 전개 방향(029)
4. 다문화 사회에 대한 국민 의식(031)
5. 다문화 정책의 문제점(032)
제3절 향후 다문화정책 수립의 방향(054)
1. 다문화사회 주체의 정책적 위상 확립(054)
2. 다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인프라 구축(055)
3. 소통 지향적 다문화 프로그램의 개발(056)
4. 이주민의 문화권 보장(057)
5. 다문화정책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058)
제4장 다문화지표 개발의 기본방향과 관련 지표 분석(061)
제1절 다문화지표의 의미와 개발방향(063)
1. 지표와 문화지표(063)
2. 다문화지표의 의미와 필요성(063)
3. 다문화지표의 개발방향과 고려점(064)
4. 다문화지표 개발 과정(066)
제2절 다문화지표 관련 기존 연구 분석(068)
1. 문화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검토(068)
2. 기존 문화지표의 한계 및 보완방향(078)
3. 해외 다문화지표 개발 사례 검토(078)
제5장 다문화지표의 개발(085)
제1절 다문화지표의 구성체계(087)
1. 〈다문화사회 일반지표〉의 구성(087)
2. 〈다문화사회 문화지표〉의 구성(088)
제2절 〈다문화사회 일반지표〉개발(089)
1. 다문화사회 일반지표 시안(089)
2.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분석(096)
3. 다문화사회 일반지표 최종안(111)
제3절 〈다문화사회 문화지표〉개발(113)
1. 다문화사회 문화지표 시안(113)
2.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분석(120)
3. 다문화사회 문화지표 최종안(129)
제4절 다문화지표의 의의와 활용방안(131)
1. 다문화지표의 의의(131)
2. 다문화지표의 활용방안(132)
제6장 결론(133)
참고문헌(137)
ABSTRACT(145)
부록(147)
1. 1차 전문가 설문조사 설문지(147)
2. 2차 전문가 설문조사 설문지(159)
3. 추진 주체별 다문화 지원사업 및 프로그램 현황(169)

청구기호 Browsing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3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