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사이트는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웹사이트 입니다

검색

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중등학생의 수학에서의 성별 격차 및 해소 방안 연구. L 220-8

한국여성개발원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중등학생의 수학에서의 성별 격차 및 해소 방안 연구. L 220-8/ 한국여성개발원; 정경아; 정해숙
개인저자한국여성개발원
발행사항한국: 한국여성개발원, 2004
형태사항392+ 없음
ISBN8984911186:
분류기호305.407
언어한국어

소장정보

  • 인쇄인쇄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B48183 305.407 한16ㅈ L 220-8 c.2 나라셈도서관/도서관/ 대출가능
인쇄 이미지

목차

목차 일부

Ⅰ. 서론(00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003)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007)
3. 연구방법(009)
Ⅱ. 수학에서의 성별 차이와 성 평등(023)
1. 수학에서의 성별 차이의 원인(025)
2. 수학에서의 성 평등의 개념(047)
3. 여성주의적 관점과 수학에서의 성 평등(053)
Ⅲ. 수학 성취도에서의 성별 차이(061)
1. 국제 수준의...

목차 전체

Ⅰ. 서론(00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003)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007)
3. 연구방법(009)
Ⅱ. 수학에서의 성별 차이와 성 평등(023)
1. 수학에서의 성별 차이의 원인(025)
2. 수학에서의 성 평등의 개념(047)
3. 여성주의적 관점과 수학에서의 성 평등(053)
Ⅲ. 수학 성취도에서의 성별 차이(061)
1. 국제 수준의 학업성취도에 나타난 성별 수학성취도(063)
2. 국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성별 수학 성취도(084)
Ⅳ. 수학 관련 태도 및 경험에서의 성별 차이(117)
1. 수학 관련 정의적 태도(119)
2. 수학 관련 선행 경험(127)
3. 학교에서의 수학 학습 경험 및 인식(140)
4. 개인적 수학 학습 경험(164)
5. 수학 관련 진로 선택(171)
6. 수학 성취도와 정의적 태도 변인과의 관계(179)
7. 소결(196)
Ⅴ. 수학교사의 인식 및 교수행동(205)
1. 수학에서의 성차 및 원인 인식(207)
2. 수학 수업 및 학생 지도(230)
3. 양성평등 수학교육 지원 방안(250)
4. 수학 학습 및 활동 참여에 대한 학교 실태(268)
5. 소결(277)
Ⅵ. 결론 및 정책제언(281)
1. 요약 및 결론(283)
2. 정책 제언(288)
참고 문헌(311)
부록(325)
1. 수학 성차 해소를 위한 중재프로그램(327)
2. 부표(348)
3. 질문지(361)
4. 수학 교사 심층면담지(392)

청구기호 Browsing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3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