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공간통계정보 생산 및 유지관리 현황(001)
1.1.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001)
1.1.1.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Data Product Specification)의 정의(001)
1.1.2.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 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001)
1.1.3.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 개발의 범위(002)
1.2. UFID(004)
1.3. 기초단위구(007)
1.3.1. 기초단위구의 정의(007)
1.3.2. 기초단위구 구획 방법과 기준(009)
1.3.3. 기초단위구 번호부여 체계(010)
1.3.4. 기초단위구 유지관리 체계(015)
1.4. 전수집계구(017)
1.4.1. 전수집계구의 정의(017)
1.4.2. 집계구 구획 방법과 설정기준(019)
1.4.3. 전수집계구 번호부여 체계(020)
1.4.4. 전수집계구 유지관리(021)
1.5. 표본집계구(022)
1.5.1. 표본집계구의 정의(022)
1.5.2. 표본집계구 설정(024)
1.5.3. 표본집계구 획정방법(025)
1.5.4. 표본집계구의 유지관리(026)
1.6. 도시화지역(027)
1.6.1. 도시화지역의 정의 및 획정 기준(027)
1.6.2. 도시화지역 획정 시스템(028)
1.6.3. 도시화지역 획정 프로세스(029)
1.6.4. 도시화지역 획정 결과(030)
1.7. 도시권(033)
1.7.1. 도시권의 정의 및 획정 기준(033)
1.7.2. 도시권 획정 과정(035)
1.7.3. 도시권 획정 프로세스(036)
1.7.4. 도시권 획정 결과(040)
1.8. 사업체 관련 정보(044)
1.8.1. 사업체조사구 정의 및 획정기준(046)
1.8.2. 사업체조사구 유지관리 현황(056)
1.8.3. 사업체 센서스 개별정보 정의 및 획정기준(058)
1.9. 인구주택 총조사 관련 공간정보(066)
1.9.1. 인구조사구의 정의(066)
1.9.2. 인구조사구의 종류(070)
1.9.3. 인구조사구 설정(071)
1.9.4. 거처의 정의(077)
1.9.5. 공동주택전개도의 정의(080)
1.9.6. 인구조사구 유지관리(081)
1.10. 행정경계(082)
1.10.1. 행정경계 설정 방법(082)
1.11. 센서스 지도(083)
1.11.1. 센서스지도 정의 및 기초 자료(083)
1.11.2. 센서스지도 구축 및 갱신 과정(086)
1.11.3. 센서스지도 구축 결과(087)
제2장 국내외 생산사양 분석(093)
2.1. ISO/TC 19131 문서 항목 분석(093)
2.1.1. ISO/TC 19131 문서 내용의 특성분석(093)
2.1.2. ISO/TC 19131 문서와 관련된 참조문서에 대한 내용 분석(106)
2.2. 국외 생산사양 관련 표준화 동향 분석(120)
2.2.1. 일본(120)
2.2.2. 뉴질랜드(123)
2.2.3. 스웨덴(130)
2.2.4. 노르웨이(131)
2.2.5. 시사점(131)
2.3. 국내 생산사양 표준화 현황(134)
2.3.1.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 지침(134)
2.3.2. 수자원분야 생산사양 설계지침 분석(140)
2.3.3. 시설물분야 생산사양 설계지침 분석(147)
2.3.4. 행정경계분야 생산사양 설계지침 분석(152)
2.3.5. 교통(도로)분야 생산사양 설계지침 분석(158)
2.3.6. 소결 및 시사점(163)
제3장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 개발(165)
3.1.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 개발의 기본 방향(165)
3.2.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 항목 선정(166)
3.3.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167)
3.3.1. 개요(DPS_Overview of data product)(167)
3.3.2. 생산사양 범위(DPS_Scope Information)(169)
3.3.3. 데이터 생산사양 식별정보(DPS_Identification Information)(169)
3.3.4. 데이터 내용 및 구성(DPS_Data content and structure)(169)
3.3.5. 기준계(DPS_Reference System)(207)
3.3.6. 데이터 품질(DPS_Data Quality)(207)
3.3.7. 데이터 수집(Data Capture Information)(211)
3.3.8. 데이터 유지관리(DPS_Data Maintenance)(258)
제4장 제언(259)
4.1. 기초단위구 번호와 전수집계구 번호 부여 체계(259)
4.1.1. 기초단위구 번호 부여 체계(259)
4.1.2. 전수집계구 번호부여 체계(260)
4.1.3. 기초단위구 번호와 전수집계구 번호에 관한 제언(261)
4.2. 전수집계구의 유지관리(262)
4.2.1. 전수집계구 유지관리(262)
4.2.2. 전수집계구 유지관리에 관한 제언(262)
4.3. 공간통계정보 데이터모델(264)
4.4. 사업체정보 관련(265)
4.5. 센서스지도 관련(265)
4.6. 도로명주소(새주소)와의 연계(266)
참고 문헌(271)
1.1.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001)
1.1.1.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Data Product Specification)의 정의(001)
1.1.2.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 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001)
1.1.3.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 개발의 범위(002)
1.2. UFID(004)
1.3. 기초단위구(007)
1.3.1. 기초단위구의 정의(007)
1.3.2. 기초단위구 구획 방법과 기준(009)
1.3.3. 기초단위구 번호부여 체계(010)
1.3.4. 기초단위구 유지관리 체계(015)
1.4. 전수집계구(017)
1.4.1. 전수집계구의 정의(017)
1.4.2. 집계구 구획 방법과 설정기준(019)
1.4.3. 전수집계구 번호부여 체계(020)
1.4.4. 전수집계구 유지관리(021)
1.5. 표본집계구(022)
1.5.1. 표본집계구의 정의(022)
1.5.2. 표본집계구 설정(024)
1.5.3. 표본집계구 획정방법(025)
1.5.4. 표본집계구의 유지관리(026)
1.6. 도시화지역(027)
1.6.1. 도시화지역의 정의 및 획정 기준(027)
1.6.2. 도시화지역 획정 시스템(028)
1.6.3. 도시화지역 획정 프로세스(029)
1.6.4. 도시화지역 획정 결과(030)
1.7. 도시권(033)
1.7.1. 도시권의 정의 및 획정 기준(033)
1.7.2. 도시권 획정 과정(035)
1.7.3. 도시권 획정 프로세스(036)
1.7.4. 도시권 획정 결과(040)
1.8. 사업체 관련 정보(044)
1.8.1. 사업체조사구 정의 및 획정기준(046)
1.8.2. 사업체조사구 유지관리 현황(056)
1.8.3. 사업체 센서스 개별정보 정의 및 획정기준(058)
1.9. 인구주택 총조사 관련 공간정보(066)
1.9.1. 인구조사구의 정의(066)
1.9.2. 인구조사구의 종류(070)
1.9.3. 인구조사구 설정(071)
1.9.4. 거처의 정의(077)
1.9.5. 공동주택전개도의 정의(080)
1.9.6. 인구조사구 유지관리(081)
1.10. 행정경계(082)
1.10.1. 행정경계 설정 방법(082)
1.11. 센서스 지도(083)
1.11.1. 센서스지도 정의 및 기초 자료(083)
1.11.2. 센서스지도 구축 및 갱신 과정(086)
1.11.3. 센서스지도 구축 결과(087)
제2장 국내외 생산사양 분석(093)
2.1. ISO/TC 19131 문서 항목 분석(093)
2.1.1. ISO/TC 19131 문서 내용의 특성분석(093)
2.1.2. ISO/TC 19131 문서와 관련된 참조문서에 대한 내용 분석(106)
2.2. 국외 생산사양 관련 표준화 동향 분석(120)
2.2.1. 일본(120)
2.2.2. 뉴질랜드(123)
2.2.3. 스웨덴(130)
2.2.4. 노르웨이(131)
2.2.5. 시사점(131)
2.3. 국내 생산사양 표준화 현황(134)
2.3.1.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 지침(134)
2.3.2. 수자원분야 생산사양 설계지침 분석(140)
2.3.3. 시설물분야 생산사양 설계지침 분석(147)
2.3.4. 행정경계분야 생산사양 설계지침 분석(152)
2.3.5. 교통(도로)분야 생산사양 설계지침 분석(158)
2.3.6. 소결 및 시사점(163)
제3장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 개발(165)
3.1.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 개발의 기본 방향(165)
3.2.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 항목 선정(166)
3.3. 공간통계정보 생산사양(167)
3.3.1. 개요(DPS_Overview of data product)(167)
3.3.2. 생산사양 범위(DPS_Scope Information)(169)
3.3.3. 데이터 생산사양 식별정보(DPS_Identification Information)(169)
3.3.4. 데이터 내용 및 구성(DPS_Data content and structure)(169)
3.3.5. 기준계(DPS_Reference System)(207)
3.3.6. 데이터 품질(DPS_Data Quality)(207)
3.3.7. 데이터 수집(Data Capture Information)(211)
3.3.8. 데이터 유지관리(DPS_Data Maintenance)(258)
제4장 제언(259)
4.1. 기초단위구 번호와 전수집계구 번호 부여 체계(259)
4.1.1. 기초단위구 번호 부여 체계(259)
4.1.2. 전수집계구 번호부여 체계(260)
4.1.3. 기초단위구 번호와 전수집계구 번호에 관한 제언(261)
4.2. 전수집계구의 유지관리(262)
4.2.1. 전수집계구 유지관리(262)
4.2.2. 전수집계구 유지관리에 관한 제언(262)
4.3. 공간통계정보 데이터모델(264)
4.4. 사업체정보 관련(265)
4.5. 센서스지도 관련(265)
4.6. 도로명주소(새주소)와의 연계(266)
참고 문헌(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