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연구의 필요성과 범위(001)
1.1. 공간통계정보 지식체계 참조모델 연구의 필요성(001)
1.2. 공간통계 지식체계 참조모델의 개념(001)
1.2.1. 공간통계정보와 지식체계의 정의(001)
1.2.2. 공간통계정보 지식체계 참조모델의 개념(002)
1.2.3. 공간통계정보 지식체계 참조모델의 구성과 활용(003)
제2장 공간통계 지식체계 참조...
목차 전체
제1장 연구의 필요성과 범위(001)
1.1. 공간통계정보 지식체계 참조모델 연구의 필요성(001)
1.2. 공간통계 지식체계 참조모델의 개념(001)
1.2.1. 공간통계정보와 지식체계의 정의(001)
1.2.2. 공간통계정보 지식체계 참조모델의 개념(002)
1.2.3. 공간통계정보 지식체계 참조모델의 구성과 활용(003)
제2장 공간통계 지식체계 참조모델 현황 및 방안(005)
2.1. 국가별 공간통계 정보 지식체계 현황 및 분석(005)
2.1.1. 선진국의 통계제도(005)
2.1.2. 미국(006)
2.1.3. 영국(009)
2.1.4. 캐나다(013)
2.1.5. 일본(015)
2.1.6. 한국(016)
2.1.7. 국가별 비교 및 시사점(019)
2.2. 국내외 공간 참조모델 지식체계 표준 현황 및 분석(023)
2.2.1. ISO 19101 Reference Model(024)
2.2.2. OGC Reference Model(027)
2.2.3. FGDC Standard Reference Model(030)
2.2.4. 국내 공간정보 참조모델(036)
2.2.5. 참조모델 비교 및 시사점(038)
2.3. 공간통계정보 서비스 아키텍처 현황 및 분석(039)
2.3.1. GIS 서비스 관련 현황 분석(039)
2.3.2. GIS 서비스 아키텍처 모델 분석(046)
2.3.3. 전자장부 서비스 아키텍처 분석(048)
2.3.4. 공간통계정보 서비스 프레임워크(055)
2.3.5. 공간통계정보 서비스 비교 및 시사점(056)
2.4. 공간통계정보 지식체계 참조모델(057)
2.4.1. 공간통계정보 지식체계(057)
2.4.2. 공간·통계 - 정보 모델(058)
2.4.3. 공간·통계 - 서비스 모델(059)
제3장 공간통계 지식체계 표준 제정절차 수립 방안(071)
3.1. 국내외 기술 표준 개발 및 제정절차 현황 및 분석(071)
3.1.1. ISO(071)
3.1.2. OGC(074)
3.1.3. FGDC(076)
3.1.4. KS, TTA(078)
3.1.5. 표준 개발 제정절차 비교 분석 및 시사점(080)
3.2. 공공부문 표준 및 지침 제정절차 현황 및 분석(081)
3.2.1. 행정안전부 표준화 지침(081)
3.2.2. 지식경제부 표준화 체계(083)
3.2.3. 기술 표준의 국내 공공부문 적용 절차(083)
3.2.4. 공공부문 표준 제정 비교 및 시사점(085)
3.3. 공간통계 지식체계 표준 제정 절차의 구상(085)
3.3.1. 공간통계 지식체계 표준의 적용 대상과 범위(085)
3.3.2. 공간통계 지식체계 표준 제정 조직 및 절차(087)
3.3.3. 공간통계 지식체계 표준 공개 및 배포 방안(090)
3.3.4. 공간통계 지식체계 프로파일링 기본 지침(090)
제4장 공간통계 지식체계 표준 활성화 방안(095)
4.1. 표준 적용 활성화 사례분석(095)
4.1.1. 표준 적용 사례(096)
4.2. 국외 표준적용 확산 사례분석(103)
4.3. 표준적용 활성화 전략요소 도출(106)
4.4. 공간통계정보 표준적용 활성화 전략 제시(108)
4.4.1. 민간표준화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육성이 필요(108)
4.4.2. 표준전문인력 양성 및 활용시스템 활성화(현재 한국표준협회 추진 중)(108)
4.4.3. 표준화 인식 제고, 홍보, 교육 확대(109)
4.5. 공간통계정보 표준 활성화 로드맵(109)
제5장 결론(111)
참고문헌(11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3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